본문 바로가기
돈이되는 경제이야기

직장인 부업으로 배달을 할 때 알아야 할 세금 상식 알아보자

by hoony세상soony나라 2024. 5. 7.
728x90
반응형

* 직장인이 부업으로 배달을 할 때 알아야 할 세금 상식의 대해 알아보자.

- 최근 MZ들 사이에서 부업으로 할 만한 것 중 ‘배달’ 일이 꼽히는데요 특별한 경력이 없어도 시작할 수 있고, 퇴근 후나 주말 등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용돈벌이를 할 수 있으니까요. 직장인에게도 마찬가지인데요. 이 일을 처음 해본다면 세금이 헷갈릴 수 있어요. 직장인이 부업으로 배달을 할 때 알아둬야 할 세금 상식, 함께 알아볼까 합니다.

반응형

직장인 부업 배달 세금 상식

중요하게 알고 넘겨야 될 사항.

우선, 직장인이 부업으로 배달 일을 했다면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됩니다. 배달 소득이 연 3,600만 원 이하면 단순경비율을 적용해 세금을 아낄 수 있어요. 배달 소득이 크다면 필요경비를 잘 체크해 세금을 아껴보도록 할까요 부업이어도 종합소득세 신고 꼭 하셔야 됩니다. 퇴근 후나 주말 등 시간이 날 때마다 배달 라이더로 일했다면 월급 외 소득이 꽤 쏠쏠했을 텐데요. 이렇게 직장인이 배달 앱 종사자로 부업을 한 경우 짧게 일했더라도, 벌이가 크지 않았어도 5월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해요. 이유를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요. 배달 앱 기사로 아르바이트를 해 번 돈은 사업소득이에요. 급여가 들어올 때 사업소득세 3%와 지방소득세 0.3%를 합한 3.3%를 미리 떼고 나머지 금액을 받는 거죠. 이렇게 미리 세금을 냈으니 1년 동안의 수입과 지출을 다시 파악해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거고요. 이 기간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가산세를 내야 할 수 있으니 잊지 말아야 합니다.

 

 

잠깐 알고 지나가야되는 사항.

N잡러는 어떤 소득인지에 따라 세금을 신고하는 방법이 달라요. 소득은 크게 근로소득, 사업소득, 기타 소득으로 나뉘는데요. 각 소득별 특징과 신고 방법을 미리 알아두고, 세금 신고를 놓치지 말아요.

① 근로소득: 취업 후 회사에서 받는 소득이에요. 매년 1~2월 연말정산으로 세금 신고가 끝나죠. 가게나 배달대행업체에 고용된 일반 배달 기사는 이 연말정산을 하는 거예요. ② 사업소득: 회사에 고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꾸준히 일을 하고 월급과 비슷하게 반복적으로 받는 소득이에요. 배달 앱을 통해 아르바이트를 했다면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직접 해야 해요.③ 기타소득: 강연료, 복권 당첨금 등 일시적으로 생긴 소득을 말해요. 총수입에서 필요경비를 뺀 연간 합계액이 300만 원 이하면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중 선택할 수 있지만, 300만 원을 넘으면 꼭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. 배달 부업러의 종합소득세 아끼는 꿀팁 정보. 저녁이나 주말에 잠깐 배달 아르바이트를 했다면 절세 꿀팁을 알아두는 게 좋아요.

 내가 버는 소득을 조절하면 세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 체크.

배달 소득이 연 3,600만 원 이하라면 직장 생활과 함께 부업을 하면 시간이 날 때 잠깐 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배달 일을 많이 소화하기 어려워요. 이럴 때 알아둬야 하는 것이 단순경비율인데요. 단순경비율이란 소득이 적어 장부를 쓰기 쉽지 않은 사업자들에게 소득의 일정 비율을 경비로 인정해 주는 거예요. 배달 아르바이트로 번 연 소득이 3,600만 원 미만이라면 단순경비율 79.4%가 적용되거든요. 즉, 수입의 79.4%는 경비로 처리하고, 나머지 20% 정도만 배달 라이더의 수입으로 보는 거죠. 이 수입에 세금을 매기는 거예요. 소득이 클수록 필요경비는 꼼꼼히 체크하셔야 됩니다. 배달 소득이 연 3,600만 원을 넘을 정도로 크다면 필요경비를 특히 신경 써야 해요. 벌어들인 수입에서 일할 때 지출한 필요경비를 뺀 금액에 세금을 매기는 만큼, 잘 기록해 두는 습관이 필요한데요. 오토바이로 배달 일을 했다면 구입 및 렌털 비용은 물론 수리비, 주유비 등도 경비로 처리할 수 있어요. 또, 배달 일을 할 때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죠. 휴대폰 요금도 업무상 꼭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경비에 해당하는데요. 이렇게 일할 때 필요해서 쓴 카드 사용 내역이나 현금영수증, 요금 납부 확인서 등을 꼼꼼히 챙기면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. 꼼꼼하게 체크하고 손해 보는 일 없도록 합시다,

728x90